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필독!!! 폭염 대비 열사병 치료법 공개

by LifeStory7 2025. 7. 8.

지구완 온도계 지구 온난화로 인한 위험도를 표현한 사진

한여름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열사병 위험도 함께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햇빛이 강한 낮 시간에 오래 밖에 있다 보면 체온이 갑자기 올라 열사병으로 이어질 수 있죠. 하지만 많은 분들이 단순히 더위를 먹었다고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열사병이 어떤 증상을 보이는지, 응급상황에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그리고 일상에서 어떤 예방법을 실천하면 좋은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열사병,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

열사병은 말 그대로 몸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상황이에요. 보통 40도 이상까지 체온이 올라가고, 이때 땀이 나지 않거나 의식이 흐려지는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납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어지럽고 피곤한 느낌이 들 수 있지만, 금방 두통이나 구토, 심하면 의식 저하까지 이어질 수 있어요.

특히 피부가 붉게 달아오르고 건조해지며, 맥박이 빨라지는 현상도 나타납니다. "덥긴 한데 땀이 안 나네?" 싶은 순간이 위험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즉시 그늘로 옮기고 몸을 식혀줘야 해요.

노약자나 어린이, 만성질환이 있는 분들은 체온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더 조심해야 하고, 야외에서 일하시는 분들도 항상 스스로의 몸 상태를 체크해보는 습관이 필요해요.

갑자기 열사병이 왔다면? 응급처치 이렇게!

열사병이 의심된다면 제일 먼저 할 일은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기는 것입니다. 에어컨이 나오는 실내가 제일 좋고, 없을 경우엔 그늘에서 바람이 통하는 곳으로 옮겨야 해요. 그리고 옷을 느슨하게 풀어주고, 찬물에 적신 수건이나 얼음팩을 이용해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같은 부위를 차갑게 해주는 게 중요합니다. 이 부위는 큰 혈관이 지나가기 때문에 빠르게 체온을 낮출 수 있어요.

물이나 이온음료를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의식이 없거나 토할 것 같은 상태라면 절대 억지로 마시게 하지 마세요. 이런 경우엔 바로 119에 연락해서 병원으로 이송해야 해요. ‘조금만 쉬면 괜찮아지겠지’ 하고 방치하면 정말 위험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 지켜야 할 열사병 예방법

열사병은 갑자기 찾아오지만, 조금만 신경 써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이에요. 가장 중요한 건 더운 시간대(오전 10시~오후 5시)에 야외활동을 피하는 것입니다. 꼭 외출해야 한다면 모자나 양산, 시원하고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착용하세요.

또, 수분 섭취는 목이 마르기 전부터 자주자주! 하루 종일 꾸준히 물을 마시고, 이온음료도 간간히 챙기면 좋아요. 다만 커피나 술처럼 몸에서 수분을 빼는 음료는 피하는 게 좋겠죠?

실내에서는 커튼을 치거나 선풍기, 에어컨을 활용해서 온도를 낮춰 주세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노인이나 아이 같은 취약한 가족 구성원이 있다면 더 신경 써서 살펴보는 게 중요해요. 무더운 날에는 서로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게 큰 도움이 됩니다.

열사병은 빠르게 악화될 수 있지만, 우리가 조금만 주의하고 준비한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이에요. 더운 여름, 내 몸의 신호에 귀 기울이고, 주변 사람들과 함께 건강을 지키는 여름 보내시길 바랍니다. 오늘 배운 열사병 예방법, 실천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