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넌 뭐냐..? 스테이블 코인 탈중앙화 실현 가능성 (DAI, Frax, Curve)

by LifeStory7 2025. 7. 12.

비트코인 사진

스테이블 코인은 본질적으로 ‘안정된 가격’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지만, 동시에 암호화폐의 핵심 철학인 탈중앙화(Decentralization)와 상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USDT(테더)나 USDC(서클)처럼 중앙 기관이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은 투명성과 규제 의존성이 크지만, DAI, Frax, Curve USD 등은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발행 및 유지됩니다. 2025년 현재, 이들 프로젝트는 탈중앙화와 안정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어떻게 조화시키고 있는지, 그 실현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DAI: 탈중앙화 모델의 대표주자

DAI는 스테이블 코인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탈중앙화 모델로 꼽힙니다. 이더리움 기반의 디파이 프로젝트인 MakerDAO에서 발행하며, 1 DAI는 1 USD를 목표로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DAI의 가장 큰 특징은 담보 기반 발행 구조로, 사용자는 이더리움(ETH), USDC, wBTC 등 다양한 자산을 스마트컨트랙트에 예치하고, 그에 대한 대출 형식으로 DAI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MakerDAO는 약 50억 달러 이상의 담보 자산을 운용하고 있으며, DAI의 유통량은 45억 개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완전한 탈중앙 운영을 지향하며, DAO(탈중앙화 자율 조직)의 거버넌스를 통해 모든 정책과 프로토콜 변경이 결정됩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탈중앙화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전체 담보 중 상당 부분이 USDC와 같은 중앙화된 자산이라는 점은 DAI의 구조적인 약점으로 지적됩니다. 만약 USDC가 규제 리스크로 인해 디페깅(1달러 유지 실패)되면, DAI 역시 영향을 받습니다. 즉, ‘탈중앙 스테이블 코인’이지만, 여전히 중앙화 자산에 의존하는 구조적 모순을 갖고 있는 셈입니다.

Frax: 하이브리드 알고리즘 모델의 진화

Frax는 완전한 담보 방식도, 완전한 알고리즘 방식도 아닌,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한 탈중앙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초기에는 알고리즘을 통해 DAI보다 더 유연한 공급 구조를 지향했으나, 2023년 이후 Frax V3 업그레이드를 통해 100% 담보 방식으로 구조를 전환하며 탈중앙성과 신뢰성 사이의 균형을 추구했습니다. 2025년 현재 Frax는 다양한 담보 자산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Frax Ether(Frax ETH), sfrxETH 등의 생태계 토큰과 연동되어 고수익 DeFi 서비스와의 연계성이 높아졌습니다. Frax 프로토콜은 Frax Share(FXS)라는 거버넌스 토큰을 통해 탈중앙적 운영이 가능하며, DAO 투표를 통해 수익률, 담보비율, 정책 변경이 결정됩니다. 하지만 Frax 역시 일정 수준의 중앙화 요소가 존재합니다. 예컨대, 오라클 가격 데이터를 Chainlink에 의존하고 있으며, 담보 자산의 일부가 USDC 등 중앙화된 스테이블 코인이라는 점이 한계로 지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rax는 탈중앙화를 실현하기 위한 점진적인 전략과 기술적 설계를 갖춘 프로젝트로 평가받습니다.

Curve USD: 탈중앙화 스테이블의 새로운 패러다임

Curve는 본래 스테이블 코인 간 스왑에 특화된 탈중앙화 거래소(DEX)로 시작했지만, 2024년 말 Curve USD(CRVDUSD)라는 자체 스테이블 코인을 출시하며 주목을 받았습니다. 2025년 현재, Curve USD는 LLAMMA(자동 마진 트레이딩 구조)라는 독자적 시스템을 통해 가격 안정성과 유동성을 유지합니다. Curve USD의 가장 큰 특징은 알고리즘 기반의 자동 청산 및 대출 시스템으로, DAI와 비슷하게 담보 기반이지만 더욱 유연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Curve DAO를 통한 완전한 탈중앙화 거버넌스 구조와 함께, 토큰 홀더가 직접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탈중앙 운영이 구현된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Curve USD도 탈중앙화를 추구하면서도 현실적인 안정성을 위해 일부 중앙화 스테이블 코인을 담보로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이 점에서 볼 때, Curve 역시 완전한 탈중앙화보다는 높은 수준의 분산화와 신뢰성 확보를 동시에 추구하는 하이브리드 모델로 보는 것이 정확합니다. Curve의 시도는 기존 DAI, Frax와는 또 다른 방향성을 보여주며,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실험적인 접근으로 평가받습니다.

 

2025년 현재 DAI, Frax, Curve USD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은 탈중앙화의 이상과 안정성이라는 현실 사이에서 끊임없이 균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완전한 탈중앙화는 아직 도달하기 어려운 목표일 수 있지만,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기술적, 구조적 진화를 통해 그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미래가 궁금하다면, 지금 이 순간에도 발전 중인 이들의 움직임을 주목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