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부부상담 전문가가 말하는 이혼 사유 (갈등유형, 해결책, 사례)

by LifeStory7 2025. 7. 4.

 

사랑 이별 하트 이미지
사진: Unsplash 의 Marek Studzinski

한국의 이혼율은 OECD 국가 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할 만큼 높은 편입니다. 단순한 통계 수치 너머에는 다양한 현실적 갈등과 해결되지 않은 감정들이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부부상담 전문가들의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흔히 나타나는 부부 갈등 유형, 이혼에 이르게 하는 구체적인 원인, 그리고 이혼을 방지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결책과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부부 싸움 사진
사진: Unsplash 의 Vitaly Gariev

갈등유형 1: 감정 단절과 소통 부재

많은 부부가 처음에는 사랑으로 결혼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감정적인 단절을 겪게 됩니다. 부부상담 현장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문제는 ‘서로에 대한 이해 부족’과 ‘의사소통의 단절’입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문화적 특성이 있어, 불만이 쌓이다가 어느 순간 폭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정 단절은 종종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배우자의 말을 무시하거나, 귀찮아하는 반응을 자주 보이고, 사소한 일에도 짜증을 내며 대화를 회피합니다. 상대방은 이로 인해 ‘나는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는 감정을 느끼고, 결국 감정적 거리감이 더욱 커지게 됩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감정 단절을 ‘정서적 이혼’이라 부릅니다. 법적인 이혼보다 앞서 이미 마음이 멀어진 상태를 의미하며, 이 단계에서 부부가 서로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담사들은 이 시점에서 개입해 감정 확인 훈련과 감정표현 기술을 통해 다시 관계를 복원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문제는 많은 부부가 이 지점까지 갈 때까지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돈 과 이별 사진
사진: Unsplash 의 Marek Studzinski

갈등유형 2: 역할 갈등과 경제적 스트레스

한국 부부의 또 다른 대표적인 이혼 사유는 ‘역할 갈등’과 ‘경제적 문제’입니다. 전통적인 성 역할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맞벌이 부부가 늘었지만, 여전히 가사와 육아는 한쪽(대체로 여성)에 더 많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육아 피로, 불공정한 노동 분담, 일과 가정의 균형 실패 등으로 갈등이 발생합니다.

또한 경제적 스트레스는 부부관계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월세, 대출, 자녀 교육비 등 현실적인 부담 속에서 부부는 서로에게 의지가 되기보다는 책임을 전가하거나 서로를 탓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돈 문제’는 표면적인 원인일 뿐, 그 이면에는 신뢰 부족, 불안정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숨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럴 때 명확한 역할 분담과 가정 내 회계 투명성이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실제 상담 사례 중에는 남편이 경제적 부담을 혼자 짊어지고 있다는 부담감에 점점 소극적으로 변하고, 아내는 그런 남편의 무기력함을 보고 실망하며 갈등이 심화된 경우가 있습니다. 이 부부는 ‘공정한 역할 분담표’를 작성하고 정기적인 가계회의를 통해 서로의 상황을 공유하면서 위기를 극복해 냈습니다.


남녀의 갈등 사진
사진: Unsplash 의 Suhendro Purnomo

갈등유형 3: 외도, 신뢰 위반과 극복 사례

이혼의 결정적인 사유로 자주 언급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외도입니다. 외도는 단순히 신체적 배신을 넘어, 감정적 신뢰가 무너지는 가장 극단적인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외도를 단순히 성적인 문제로만 보기보다는 ‘관계에서의 결핍’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즉, 관계 내에서의 외로움, 무시당하는 감정, 관심 부족 등이 외도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담사들은 외도 이후에도 회복이 가능하다고 말하지만, 전제 조건은 외도를 한 측의 ‘완전한 책임 인정’과 ‘진정한 사과’입니다. 동시에 피해자는 상처를 말로 표현하고 감정을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감정노트 작성, 역할극, 상호 간 진솔한 질문 등을 통해 상처를 마주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실제 한 사례에서는 아내의 외도로 인해 남편이 이혼을 결심했지만, 상담을 통해 아내가 외도 이전부터 느껴왔던 외로움과 남편의 무관심을 이해하게 되었고, 남편 또한 자신의 태도를 반성하면서 관계 회복의 가능성을 보였습니다. 상담은 결국 부부 모두가 서로를 다시 이해하는 과정이며, 포기하지 않을 때 기적도 가능한 법입니다.


결혼반지 사진
사진: Unsplash 의 Jason Sung

 

이혼보다 중요한 건 ‘문제 해결력’

이혼은 때로 불가피한 선택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부부 갈등은 사전에 인식하고 대응한다면 충분히 극복 가능한 문제들입니다. 특히 감정적 단절, 역할 갈등, 신뢰 위반과 같은 핵심 갈등 요소는 전문가의 중재와 상담을 통해 회복할 수 있는 여지가 많습니다.
이 글이 독자에게 부부 관계를 다시 바라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갈등이 곧 이혼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야 할 때입니다.